10월 14일 오후 7시 강남씨어터에서 오페라 <사랑의 묘약>을 관람했다.
누구나 사랑을 꿈꾸지만, 원하는 사랑을 얻기는 쉽지 않다. 그럴 때 한번쯤 상상했을 것이다. "만일 사랑하는 사람의 마음을 모두 읽어 낼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면", "사랑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나를 좋아하게 만드는 약이 있다면",,,,사랑하는 사람이 생겼을 때 가장 중요한 건 마음을 얻는 일이다. 이 문제를 다분히 낭만적이면서 훈훈하게 다룬 작품이 바로 오페라 <사랑의 묘약>이다.
매주 목요일 오후 7시에 강남씨어터에서 공연되는 작품은 무료이며, 인터넷으로 신청할 수 있다. 무료임에도 작품의 퀄리티는 높은 편이어서, 특별한 일이 없으면 매주 이 곳을 찾는다.
오페라 <사랑의 묘약(L'elisir d'amore)>은 도메니코 가에타노 마리아 도니체티(Domenico Gaetano Maria Donizetti)가 펠리체 로마니(Felice Romani)의 대본을 바탕으로 작곡한 작품이다. 본래 공연 시간이 2시간 남짓 소요되며, 마을사람이 등장하는 등 다수의 배우들이 무대에 출연한다. 반주음악도 다채롭다. 이 작품의 줄거리는 이러하다.
19세기 이탈리아의 한 시골에 사는 젊은 농부 네모리노는 아름다운 지주의 딸 아디나를 짝사랑한다. 어느 날 아디나는 네모리노를 포함한 다른 농부들에게 <트리스탄과 이졸데> 이야기책을 읽어 주는데, 트리스탄이 이졸데에게 사랑의 묘약을 먹이는 장면이 나오자 농부들은 진짜 그런 묘약이 있으면 좋겠다고 말한다. 이후 마을에 돌팔이 약장수 둘카마라가 마차를 타고 들어오고, 마을 사람들은 둘카마라에게 약을 산다. 네모리노는 둘카마라에게 트리스탄과 이졸데 얘기에 나온 사랑의 묘약이 있는지 물어본 뒤, 둘카마라에게서 사랑의 묘약을 구입한다. 하지만 사랑의 묘약의 정체는 싸구려 포도주로 아무런 효력이 없는데, 네모리노는 그저 술에 취해 기분이 좋아져 노래를 부른다. 아디나는 마을을 찾은 군인 벨코레의 청혼에 응하지만, 막상 결혼 계약서를 앞두고 서명을 미룬다.
둘카마라에게서 새로운 묘약을 살 돈을 구하기 위해 네모리노는 군인이 되기로 결심한다. 이후 네모리노의 삼촌이 죽으면서 네모리노에게 유언으로 막대한 유산을 남겼다는 소문이 퍼지고, 이 소문을 들은 많은 여자들이 그에게 관심을 갖는다. 그 사실을 모르는 네모리노는 자신이 둘카마라에게서 산 새로운 약의 효험 덕분이라고 믿는다.
아디나는 네모리노가 자신의 마음을 얻기 위해 군대에 들어갈 생각까지 했다는 것을 뒤늦게 알고 감동한다. 벨코레에게서 네모리노의 군입대 계약서를 도로 사 온 아디나는 네모리노에게 그것을 주고, 두 사람은 행복한 결말을 맞이한다. 이후 둘카마라가 다음에 또 오겠다는 말을 남기고 마차를 타고 떠난다.
강남씨어터에서 공연한 <사랑의 묘약>은 (사)경상오페라단 소속 배우 6명이 출연하여 한 시간 남짓 열연했으며, 음악도 피아노 반주가 전부였다. 원작을 살리면서도, 대한민국 서울 강남 '지금 이곳' 의 상황을 적절하게 수용하고 단출한 형태로 축약하여 무대에 올렸다.
농부 네모리노는 강남구 대치동에 사는 카센터 직원, 지주의 딸 아디나와 군인 벨코레는 강남의 의사로 설정되었다. 약장수 둘카마라가 파는 포도주는 소주 '참이슬'로 바뀌었으며, 벨코레는 네모리노에게 거액의 돈을 줄 수 있다면서 요즘 세간의 화제를 모으고 있는 드라마 < D.P>와 <오징어게임>을 거론하며 아프카니스탄으로 떠날 것을 제안했다. 그리고 사랑의 묘약인 줄 알고 소주를 마신 네모리노는 싸이의 '강남스타일' 말춤을 추기도 했다.
<사랑의 묘약>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아리아인 '남몰래 흐르는 눈물'을 비롯하여 모두 12곡의 노래가 불렸는데, 주인공 네모리노의 가창력이 돋보였다. 공연은 단출하면서 깔끔하게 진행되었으며, 피아노만으로도 반주음악은 충분했다. 그리고 둘카마라는 능청스러운 연기로 청중들의 웃음을 자아내며 작품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진짜 '사랑의 묘약'은 무엇일까?
네모리노는 거액의 유산을 상속받은 부자였기에, 궁극적으로 사랑을 얻을 수 있었을 것이다. 아디나는 사랑의 묘약 따위는 없다며 자신의 예쁜 외모로 사랑을 얻을 수 있다고 했다. 그라니까 <사랑의 묘약>은 삼각관계로 전개된 세속적이고 통속적인 사랑 이야기 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지점에서 인간의 보편적 욕망을 확인할 수 있다.